EconPapers    
Economics at your fingertips  
 

제국주의와 금융주의: 어느 결합체에 관한 이야기

Imperialism and Financialism: A Story of a Nexus

Shimshon Bichler and Jonathan Nitzan

EconStor Preprints from ZBW - Leibniz Information Centre for Economics

Abstract: 지난 세기 동안 제국주의와 금융주의의 결합은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실천에서 중심축이었다. 수많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이 결합이 전 세계를 병폐에 빠뜨린 원인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이 이 결합에 부과한 역사적 역할은 극적으로 변했다. 핵심적으로 변화한 것은 잉여와 유동성 흐름의 성격과 방향이었다. 20세기로 접어들면서 제국주의와 금융주의의 결합체가 명확해졌다. 그 결합체의 첫 번째 구현 형태는 금융 자본이 ‘초과’ 잉여를 수출할 수 있는 식민지를 얻기 위해 제국주의자들이 벌인 쟁탈전을 설명했다. 다음 두 번째 버전에선 중심부의 잉여가 국내로 흡수되고 군사 지출과 금융 중개라는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독점 자본주의의 신제국주의적 세계를 상정했다. 세 번째 스크립트는 종속적인 주변부에서 금융 중심부로 잉여가 유입되는 세계체계를 가정했다. 그리고 가장 최근 판본은 미국이라는 중심부의 공동화를 설명한다. 즉, 중심부인 미국은 이미 자체 생산 연료의 상당 부분을 태워버렸고 이제는 세계체계의 외부 유동성을 사용하고자 나머지 세계를 ‘금융화’하는 ‘적색 거성’이다. 본 논문은 마치 카멜레온과 같은 이러한 변형의 윤곽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결합체에서 놓친 게 무엇인지 따져본 뒤, 이를 유지할 가치가 있는지 묻는다.

Keywords: capital; dependency; finance; hegemony; imperialism; Marxism; monopoly; world systems (search for similar items in EconPapers)
JEL-codes: F02 F23 F3 F42 F5 F54 F6 L12 P16 (search for similar items in EconPapers)
Date: 2023
New Economics Papers: this item is included in nep-his and nep-hme
References: Add references at CitEc
Citations:

Downloads: (external link)
https://www.econstor.eu/bitstream/10419/279834/1/I ... sm-korean-part-1.pdf (application/pdf)

Related works:
This item may be available elsewhere in EconPapers: Search for items with the same title.

Export reference: BibTeX RIS (EndNote, ProCite, RefMan) HTML/Text

Persistent link: https://EconPapers.repec.org/RePEc:zbw:esprep:279834

Access Statistics for this paper

More papers in EconStor Preprints from ZBW - Leibniz Information Centre for Economics Contact information at EDIRC.
Bibliographic data for series maintained by ZBW - Leibniz Information Centre for Economics ().

 
Page updated 2025-03-20
Handle: RePEc:zbw:esprep:279834